- 약수의 개수와 덧셈
문제 설명
제한사항
입출력 예leftrightresult
입출력 예 설명
두 정수 left와 right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left부터 right까지의 모든 수들 중에서, 약수의 개수가 짝수인 수는 더하고, 약수의 개수가 홀수인 수는 뺀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left ≤ right ≤ 1,000
입출력 예leftrightresult
13 | 17 | 43 |
24 | 27 | 52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다음 표는 13부터 17까지의 수들의 약수를 모두 나타낸 것입니다.
13 | 1, 13 | 2 |
14 | 1, 2, 7, 14 | 4 |
15 | 1, 3, 5, 15 | 4 |
16 | 1, 2, 4, 8, 16 | 5 |
17 | 1, 17 | 2 |
- 따라서, 13 + 14 + 15 - 16 + 17 = 43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다음 표는 24부터 27까지의 수들의 약수를 모두 나타낸 것입니다.
24 | 1, 2, 3, 4, 6, 8, 12, 24 | 8 |
25 | 1, 5, 25 | 3 |
26 | 1, 2, 13, 26 | 4 |
27 | 1, 3, 9, 27 | 4 |
- 따라서, 24 - 25 + 26 + 27 = 52를 return 해야 합니다.
(풀이 당시, 클래스, 메소드 생성에 대해 배우던 떄라 효율성은 떨어지지만 클래스와 메소드를 직접 설정하고 풀이함.)
풀이 과정 :
(1) didve 클래스로 지정한 곳의 메소드로 분리했지만 결과적으로는
for문을 사용해 주어지는 left, right 사이의 수를 계산함
//divide 클래스 부분)
(2) 주어진 수를 for문을 사용해 범위를 주어진 수 까지 계산하여 약수를 구한다.
(조건에서 →약수의 개수에 자기 자신도 포함된다)
(3) 이중 for 문을 사용하지 않고, int j변수를 선언해서 주어진 수의 약수가 몇개인지 카운팅한다.
(4) 카운팅한 수가 짝수면 +, 홀수이면 -를 리턴한다.
//main 메소드 부분
(5) 메소드로 input된 수의 리턴 값이 +이면 그 수를 더하고, -라면 그 수를 빼며 answer를 계산한다.
class divide {
//필드
String answer;
String list = "";
//메소드
public String Method (int input) {
int j = 0;
for (int i = 1; i <= input; i++) {
if (input % i == 0) {
list += i + "/";
j++;
}
}
list = "";
if(j%2 == 0) {
answer = "+";
} else {
answer = "-";
}
//System.out.println(answer);
//System.out.println(j);
return answer;
}
}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left, int right) {
int answer = 0;
String po = "";
divide D = new divide();
int k = 0;
for(int i = left; i<=right; i++) {
po += D.Method(i);
k ++;
if(D.Method(i) == "+") {
answer += i;
} else {
answer -= i;
}
}
return answer;
}
}
반응형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java) : 음양 더하기 (0) | 2022.11.15 |
---|---|
프로그래머스 (Oracle) LV.1 문제풀이 (0) | 2022.10.20 |
프로그래머스(java) :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0) | 2022.10.19 |
프로그래머스(java) : 부족한 금액 계산하기 (0) | 2022.10.19 |
프로그래머스 (java) : 없는 숫자 더하기 (0) | 202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