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ror5 DBeaver 를 사용하여 DOCKER로 실행시킨 MySQL 접속 1. terminal 에서 도커로 mysql 실행docker run -d \ --name new-mysql \ -e MYSQL_ROOT_PASSWORD=newpassword \ -p 3306:3306 \ mysql:8.0 1-1. 기존 실행중인 mysql 에 접속하려는 경우> 설정한 container name : mysql_containerdocker exec -it mysql_container bash 2. 연결 시도 시 아래와 같은 연결 거부 알림access denied for user 'root'@172.170.1 (using password : yes) 해당 메시지의 172.170.1.x 는 도커 컨테이너 네트워크 내부 IP임DBeaver 연결 설정에서 localhost로 연결하더라도 d.. 2025. 4. 5. MAC : 8080 포트 종료 현재 사용중 포트 확인 명령어 : isof -i :8080확인 후 port kill 명령어 : kill -9 '해당kill pid' 2024. 12. 5. SQL Developer 재설치 방법 SQL Developer 재설치가 필요하여 재설치 하던 중, 해결방법을 찾지 못했다. C:programFile에서만 삭제하는 것으로는 DB연결이 유지가 되어 해결하지 못함. C:사용자:xxx:AppData:아래의 sql파일 두개 삭제 이후 .exe파일로 재실행 하면 해결이 된다. 1. C: 밑의 oracle sqldeveloper 삭제 2. AppData 밑의 roaming 이동 3. Roaming아래의 sql 폴더 2개 삭제. 4. sql developer.exe 설치 파일을 통해 재설치가 되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2023. 6. 6. SQL tnsname 파일 설정하기 DB 연결 중, tnsname의 경로 설정에 애를 먹었던 케이스를 해결하였다. https://danew.tistory.com/41 [Oracle] TNS 설정 - tnsnames.ora 파일 / SQL Developer 설정 Intro 안녕하세요 초보 DBA 다뉴입니다. 오늘은 오라클을 사용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설정하는 TNS설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죠! TNS 설정 tnsname.ora 파일이란? tnsname.ora 파일은 Oracle Database의 접속 danew.tistory.com 구글링 중, 위와 같은 게시글을 찾아 해결 1. SQL developer 도구, 환경설정 이동 2. 데이터베이스 - 고급 위치로 이동해서 tnsnames 디렉토리 설정 2023. 6. 6. 이전 1 2 다음